멀미약도 내성이 생기나요?
1. 멀미약도 자주 먹으면 내성이 생길 수 있나요?
네, 일부 멀미약(특히 항히스타민제 계열)은 장기간 또는 자주 복용하면 내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내성이 생기면 다음과 같은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같은 용량을 복용해도 효과가 줄어듦
- 멀미 예방 효과가 지속되지 않음
- 점점 더 많은 양을 필요로 하게 됨
그러나 사람마다 차이가 있으며, 약물 내성이 심하게 생기는 경우는 드뭅니다.
2. 멀미약의 장기 복용이나 과다복용이 신체에 미칠 수 있는 부작용
멀미약의 종류에 따라 부작용이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인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기 부작용 (일반적인 복용 시)
- 졸음, 집중력 저하
- 구강 건조
- 어지러움, 두통
- 시야 흐림
장기 복용 또는 과다 복용 시 부작용
- 기억력 및 인지 기능 저하: 항히스타민 성분(예: 디멘히드리네이트, 메클리진 등)이 장기 복용 시 인지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위장 장애: 메스꺼움, 변비 또는 설사
- 심혈관 문제: 심박수 증가, 부정맥(특히 심장 질환이 있는 경우)
- 의존성 및 금단 증상: 일부 항콜린제 성분(스코폴라민 등)은 장기 복용 후 갑자기 끊으면 어지러움, 불안, 메스꺼움 등의 금단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특히, 기저 질환(고혈압, 심장병, 녹내장, 전립선 비대증 등)이 있는 경우 부작용이 더 심할 수 있습니다.
3. 멀미 예방 및 완화 방법 (약물 외 방법)
멀미를 줄이기 위해 생활 습관을 조절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여행 전 관리
- 전날 과식이나 기름진 음식 섭취 피하기
- 충분한 수면 취하기
- 탄수화물(과자, 크래커 등)을 소량 섭취하여 속을 편하게 유지
차량/배/비행기 탑승 시
- 창문을 열어 신선한 공기 마시기
- 고정된 한 지점을 응시(예: 차에서는 먼 곳, 배에서는 수평선)
- 흔들림이 적은 좌석 선택 (자동차: 앞좌석, 배: 중앙부, 비행기: 날개 근처)
- 책, 핸드폰, 태블릿 사용 자제
자연 요법 및 보조 방법
- 생강: 생강차, 생강 캔디 등이 멀미 완화에 도움
- 손목 지압: 손목 안쪽(P6 지점)을 눌러 멀미 완화
- 호흡 조절: 깊고 천천히 숨 쉬기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