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플린트와 보톡스의 원리가 뭔가요

 개방교합(오픈바이트)이 있는 상태에서 스플린트를 사용할 경우, 어떤 방식으로 제작되느냐에 따라 턱관절과 치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스플린트가 개방교합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보고도 있어서 주의해야 합니다.

 스플린트와 개방교합

스플린트는 보통 아래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1. 이갈이(브럭시즘) 보호 – 치아 마모 방지
  2. 이 악물기(클렌칭) 방지 – 턱 근육 긴장 완화
  3. 턱관절 위치 조정 – 특정 위치로 유도

하지만 개방교합이 있는 경우에는 스플린트가 하악을 더 전방으로 밀거나(하악 전방 이동), 개방교합을 더 심화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턱근육이 강한데 스플린트가 맞을까?

현재 상태:

  • 턱 근육이 발달되어 있음
  • 평소에 이를 악물거나 갈진 않음
  • 잘 때 입을 벌리고 잠

이런 경우라면 이갈이/이 악물기가 심하지 않다면 스플린트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다만, 턱에서 "탁" 소리와 통증이 있다면 턱관절 장애(TMD)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스플린트 vs 보톡스

  • 스플린트: 치아 보호, 턱 위치 조정 목적 (개방교합이 있으면 신중히 고려)
  • 보톡스: 저작근(특히 교근) 과도 발달 시 근육 축소 효과 (일시적)

 보톡스를 맞아도 될까?
보톡스는 턱 근육의 과긴장을 줄여서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톡스만으로 개방교합을 개선하지는 않으며, 잘못 맞으면 저작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보톡스를 고려한다면 개방교합을 악화시키지 않도록 신중하게 시술해야 합니다.


 결론: 어떻게 해야 할까?

  개방교합이 있으면 스플린트가 개방교합을 더 악화시킬 위험이 있어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이갈이/이 악물기가 심하지 않다면 굳이 스플린트가 필요 없을 수 있습니다.
  "턱에서 탁 소리"와 "뻐근함"이 있다면 턱관절 장애(TMD) 가능성이 있으므로 치과 또는 구강내과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보톡스는 교근(턱 근육)이 발달한 경우 통증 완화에 도움 될 수 있지만, 개방교합을 개선하지는 않으며, 부작용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구강내과(턱관절 전문) 치과 방문을 추천합니다.
혹시 추가로 궁금한 점 있나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런닝맨 추리&공포 레전드

현대무용과 대학 순위

멘솔 담배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