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가 산성음식?

 김치는 발효 과정에서 유기산(젖산, 아세트산 등)이 생성되어 산성을 띠지만, 우리 몸에서 대사되면 알칼리성 식품으로 작용합니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은 원리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김치의 발효와 산성화

  • 김치는 발효되면서 젖산균(Lactobacillus) 이 활동하여 젖산, 아세트산 등을 생성합니다.
  • 이로 인해 pH가 낮아지면서 산성을 띠게 됩니다.

2. 소화 과정에서의 변화

  • 김치가 위에서 소화될 때, 위산(pH 1~2)과 만나 더욱 강한 산성 환경에서 분해됩니다.
  •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등이 위와 소장에서 효소에 의해 분해되면서 흡수됩니다.

3. 대사 과정에서 알칼리성으로 작용

  • 김치에는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 등 알칼리성 미네랄이 풍부합니다.
  • 이 미네랄들은 혈액에서 강한 알칼리성을 띠며, 체내 산-염기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 김치 속 유기산(젖산 등)은 체내에서 이산화탄소와 물로 대사되어 몸에 산성 영향을 남기지 않습니다.

4. 신장에서의 산-염기 조절

  • 신장은 혈액 내 산성 노폐물(수소이온, 황산 등)을 배출하고, 알칼리성 미네랄(칼륨, 나트륨 등)은 재흡수하여 산-염기 균형을 유지합니다.
  • 김치 같은 음식에서 유래한 알칼리성 미네랄이 많으면, 신장이 이를 활용하여 산성 노폐물을 배출하고 혈액을 알칼리화합니다.

5. 결과적으로 김치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작용

  • 김치 자체는 발효로 인해 산성을 띠지만, 대사 과정에서 알칼리성 미네랄이 남고 산성 노폐물이 배출되어 혈액을 알칼리화하는 효과를 가집니다.
  • 따라서 김치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분류됩니다.

 정리

"음식이 체내에서 알칼리성으로 작용하는지 여부는 원래 pH가 아니라, 대사 후 남는 미네랄 성분과 대사산물의 성질에 의해 결정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런닝맨 추리&공포 레전드

현대무용과 대학 순위

멘솔 담배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