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인덱스

 공중보건학에서 말하는 알파(α) 지수는 보통 신생아사망수(under-1 mortality)와 영아사망수(under-5 mortality) 간의 비율입니다.

 알파 지수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돼요:

알파 지수 (α) = 1세 미만 사망수 ÷ 5세 미만 사망수

이 지수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는 게 정상이에요.


왜 1보다 클 수 없을까?

 이유 1: 포함 관계 때문

5세 미만 사망 수에는 1세 미만 사망포함돼요.
즉,

5세 미만 사망수 = 1세 미만 사망수 + 1~4세 사망수

따라서 수학적으로 항상:

1세 미만 사망수 ≤ 5세 미만 사망수

이기 때문에, α = (1세 미만 사망수) ÷ (5세 미만 사망수) ≤ 1


그럼 왜 신생아 사망이 더 많을 수는 없나요?

 알파 지수가 1을 넘을 수 없는 건 신생아 사망수가 아니라 1세 미만 전체 사망수와 5세 미만 전체 사망수의 관계 때문이에요.


 예시로 보기

항목사망수
1세 미만80명
1~4세20명
5세 미만100명
알파 지수80 ÷ 100 = 0.8

→ 아무리 1세 미만 사망수가 많아도, 5세 미만 수에는 그것이 포함되므로, 분자가 분모보다 클 수는 없죠.


 요약

  • 알파 지수는 "1세 미만 사망수 ÷ 5세 미만 사망수"

  • 5세 미만 사망수는 1세 미만 사망수를 포함하므로, 지수는 1 이상이 될 수 없음

  • 신생아 사망이 1~4세보다 많은 건 흔한 일

  • 하지만 알파 지수는 구조상 1보다 클 수 없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런닝맨 추리&공포 레전드

현대무용과 대학 순위

멘솔 담배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