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 간염 항체가 없어요

 

일부 사람들은 백신을 여러 번 맞아도 항체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를 non-responder(무반응자)라고 부릅니다. 전체 인구의 약 5~10%는 B형간염 백신에 반응하지 않아 항체가 생기지 않을 수 있습니다.



  1. 유전적인 요인
    특정 HLA 유전자형을 가진 사람들은 B형간염 백신에 면역 반응을 잘 하지 않습니다.

  2. 나이, 체중, 면역 상태

    • 비만

    • 흡연

    • 면역 억제 상태 (예: 스테로이드 사용, 질병 등)
      등이 항체 생성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젊고 건강하다면 해당 가능성은 적습니다.

  3. 백신 보관/접종 오류
    아주 드물지만, 백신이 잘못 보관됐거나 접종 방법이 부적절했을 경우 항체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1. 백신 3회 접종 완료 후, 1~2개월 뒤 항체검사(HBsAb)

    • 만약 또다시 음성이라면, 비반응자(non-responder)로 간주합니다.

  2. Anti-HBc 검사 (B형간염 핵심항원 항체 검사)

    • 만약 HBsAb(-), Anti-HBc(+)이면 자연감염 후 회복된 경우일 수도 있습니다.

    • 둘 다 음성이면 백신에 반응하지 않은 것으로 봅니다.



  • 항체가 없는 경우, 감염 예방을 위해 보호장구 착용, 노출 시 대응 절차를 철저히 지키도록 권장받습니다.

  •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항체가 없다고 불합격 처리하지는 않지만, 백신 접종 노력항체 검사 결과 제출은 요구할 수 있습니다.

  • 일부는 HBIG(면역글로불린) 처방 기준을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노출 시 대처).



  • 항체가 안 생기더라도 더 이상 백신을 반복해서 맞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 6회 이상 접종 후에도 항체가 없다면,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non-responder로 인정받고, 노출 시 응급 조치(HBIG 등)를 받을 수 있도록 기록을 남기세요.

  • 관련 문서(예방접종 내역, 항체 검사 결과 등)는 병원 취업 시 제출을 대비해 정리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런닝맨 추리&공포 레전드

현대무용과 대학 순위

멘솔 담배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