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목적. 주요인력

 

 1. 건강증진사업의 목적

건강증진사업은 지역 주민의 건강 수준을 향상시키고, 질병을 사전에 예방하며 건강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목적:

  •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

  • 건강한 생활습관 형성(금연, 절주, 운동, 영양 등)

  • 건강 형평성 제고

  •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 건강증진 서비스 제공


 2. 주요 인력 (보건소 내 건강증진사업 담당자)

건강증진사업에는 다음과 같은 전문 인력이 참여합니다:

직종역할
간호사건강 상담, 프로그램 운영, 대상자 관리
영양사영양 상담, 비만관리, 식단교육 등
운동처방사운동 프로그램 운영, 신체활동 지도
금연상담사금연클리닉 운영, 니코틴 대체요법 등
사회복지사지역 자원 연계, 고위험군 지원
방문간호사건강 취약계층 방문관리, 사례관리
공무직·행정요원서류처리, 사업 평가 및 보고서 작성 등

 인력 구성은 보건소 규모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3. 지역보건법에서의 건강증진사업 관련 업무 내용

《지역보건법 제10조 및 시행령 제15조》에 따르면 보건소는 다음과 같은 건강증진 업무를 수행해야 합니다.

법적 업무 내용:

  • 지역주민의 건강실태 및 건강행태 조사

  • 금연, 절주, 신체활동, 영양, 비만예방 등의 프로그램 운영

  • 만성질환 예방 및 조기발견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영유아, 청소년, 성인, 노인 등)

  • 고위험군 조기 발견 및 집중관리

  • 건강정보 제공 및 교육·홍보

  • 지역사회 연계기관과 협력 체계 구축


 4. 안성시 보건소의 실제 주요 건강증진사업 예시

실제 운영 중인 주요 프로그램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4~2025년 기준):

 건강생활실천사업

  • 금연클리닉 운영: 흡연자 대상 금연상담, 니코틴패치 제공

  • 영양·비만 예방: 영양상담, 식습관 개선 교육, BMI 관리

  • 신체활동 프로그램: 걷기 동아리 운영, 체조 교실, 실버 운동 프로그램

 만성질환관리사업

  • 고혈압·당뇨병 등록·교육 관리

  • 주기적 혈압·혈당 체크 및 건강 상담

  • 고위험군 대상자 집중관리

 생애주기별 건강관리

  • 영유아 건강검진 및 예방접종

  • 학교 방문 건강교육 (청소년 음주·흡연 예방 등)

  • 중장년기 건강 상담, 폐경기 여성 관리

  • 노인 건강교실 운영 (치매예방, 낙상예방 등)

 방문건강관리사업

  • 독거노인, 장애인, 만성질환자 대상 가정 방문

  • 건강 모니터링 및 복약지도, 복지서비스 연계



  • 보건소 홈페이지나 건강증진과 부서에서 제공하는 연간 사업계획서를 참고하면 실제 프로그램 내용을 더 상세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실습 중에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의 반응, 만족도, 개선 사항 등을 중심으로 보고서나 과제를 작성하면 좋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런닝맨 추리&공포 레전드

현대무용과 대학 순위

멘솔 담배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