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린성두드러기
콜린성 두드러기는 땀, 열, 스트레스 등으로 체온이 올라갈 때 생기는 작은 두드러기와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피부 질환입니다. 한의학에서는 체내 열(熱), 습열(濕熱), 기허(氣虛), 또는 간울(肝鬱) 등의 불균형으로 원인을 해석하며, 치료는 전신 조절과 피부 면역 안정에 중점을 둡니다.
한의원에서의 치료 방법
1. 한약 복용
-
체질 개선과 면역 조절을 위한 한약을 처방합니다.
-
자주 사용하는 한약 처방 예:
-
청열해독탕: 체내 열을 내려주는 역할.
-
소풍산: 피부의 가려움과 두드러기를 억제.
-
귀비탕: 기혈을 보강하고 자율신경 안정에 도움.
-
가미소요산: 스트레스로 인한 간기울결 개선.
-
2. 침 치료
-
자율신경계 조절과 면역 안정, 스트레스 해소를 목적으로 합니다.
-
주로 사용하는 혈자리:
-
백회, 신문, 풍지, 혈해, 곡지, 족삼리 등
-
체열 조절과 항알레르기 작용을 기대
-
3. 약침 요법
-
면역 조절 및 소염 효과가 있는 한약 성분을 주사 형태로 경혈에 주입.
-
예: 자하거약침, 봉침 등 (봉침은 알레르기 반응 주의)
4. 부항 또는 뜸 요법
-
기혈 순환 촉진과 체내 노폐물 제거 목적
-
특히 체간 부위 열 정체를 개선하고, 간·비 위장기능 회복을 돕기 위해 사용
5. 생활·식이 지침
-
매운 음식, 알코올, 커피, 과도한 육류 섭취는 줄일 것
-
체온을 급격히 올리는 운동보다는 가벼운 유산소 운동부터 시작
-
스트레스 관리도 병행 (명상, 호흡법 등)
치료 기간과 예후
-
개인 체질에 따라 1~3개월 이상 걸릴 수 있으며, 증상이 심하거나 만성화된 경우 더 길어지기도 합니다.
-
초기에는 증상 완화, 장기적으로는 재발 방지와 체질 개선이 목표입니다.
한의원 치료는 단독보다는 생활습관 개선과 병행할 때 효과가 더 크며, 필요시 피부과와 병행진료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