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65세 이상 노인에게 제공되는 주요 정부 지원 혜택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1. 기초연금 ☑️
-
지급 대상: 만 65세 이상이며 소득인정액 기준(단독가구 월 213만 원 이하 / 부부가구 월 340만8000원 이하) 충족 시
-
2025년 기준 금액:
-
단독가구 최대 34만 4000원
-
부부가구(2인) 최대 54만 9600원
-
2. 교통비 감면 및 무임혜택 🚆
-
지하철 (수도권 전철 포함): 무임승차
-
도시철도 등: 무료
-
기차 (새마을·무궁화호): 30% 할인 (새마을호는 토·공휴일 적용 제외)
-
통근열차: 50% 할인
또한, 일부 지자체는 7월 1일부터 버스, 택시, KTX, SRT 등 교통 수단도 무료 또는 할인 확대 예정
3. 통신 요금 할인
-
기초연금 수급 시 통신비(기본료·음성·데이터 요금)의 50%까지 감면, 월 2만2000원 한도
-
일부 기준 충족자에게는 1만2100원 한도까지 지원
4. 의료비 지원
-
틀니·임플란트: 틀니 70% 지원, 임플란트도 2개까지 70% 지원
-
예방접종: 폐렴구균, 독감, 대상포진 백신 지원
-
의료급여 수급자(기초생활수급자): 임플란트·틀니 지원 포함
5. 공공시설 무료·할인 이용
-
고궁, 국립공원, 박물관, 미술관: 무료 입장
-
국립국악원 공연: 최소 50% 할인
-
공연장(국가·지자체 지원): 50% 할인
6. 금융·기타 편의 지원
-
ATM 수수료 면제: 주요 은행에서 65세 이상은 ATM 수수료 면제
-
비과세 종합예금 계좌 가입 가능
7. 돌봄·요양·일자리 제공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기초연금 수급자 대상 돌봄 서비스
-
장기요양보험, 주야간 보호 등 서비스 확대
-
노인 일자리: 2025년 공익·사회서비스·민간형 일자리 총 109만8000개 제공; 활동비 월 29만~76만 원 수준
8. 주거·에너지 지원
-
에너지 바우처: 기초생활수급자+65세 이상 가구 대상 전기·가스·도시가스 등 지원
-
고령자 맞춤형 주택 공급, 경로당 난방·양곡비 지원 확대
요약 표
혜택 카테고리 | 주요 내용 |
---|---|
생계·소득 지원 | 기초연금 최대 34만 4000원 (~부부 54만 9600원)) |
교통비 | 지하철·버스·택시 평균 무료 또는 30‑50% 할인 |
통신비 | 기초연금 수급 시 월 2만2000원·통신요금 50% 감면 |
의료비 | 틀니·임플란트 70% 지원, 예방접종 무료 |
문화 여가 | 고궁·공원·박물관 무료, 공연 50% 할인 |
금융 편의 | ATM 수수료 면제, 비과세 예금 계좌 |
돌봄·일자리 | 맞춤돌봄, 요양보험, 월 29만–76만 원 일자리 제공 |
주거·에너지 | 에너지바우처, 고령자 주택·복지주택 공급 |
✅ 신청 및 이용방법
-
기초연금: 만 65세 생일 한 달 전부터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에서 신청 가능
-
교통카드, 통신요금, 연금 감면 등은 해당 지자체 주민센터 및 통신사 고객센터에서 신청
-
돌봄·돌봄 방문 서비스: 주민센터 통해 수시 신청
마무리
2025년 한국 정부는 초고령 사회 진입에 대응하여 기초연금 인상, 교통·통신비 감면 확대, 의료·돌봄 서비스 강화, 노인 일자리 확대 등 전방위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인의 소득 수준과 기초연금 수급 여부, 지역별 지자체 정책에 따라 혜택 내용 및 금액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 해당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정부24, 복지로 웹사이트에서
▶ 월별 신청 시기와 필요 서류 (신분증, 소득증명 등)를 꼭 확인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혹시 더 궁금한 항목(예: 에너지 바우처, 예방접종, 특정 지자체 혜택 등)이 있다면 언제든지 알려주세요! 😊
2025년 기준, 기초연금 수급을 위한 소득인정액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선정기준액
-
단독가구(본인만): 월 2,280,000원 이하
-
부부가구(본인+배우자): 월 3,648,000원 이하 www2.korea.kr+10korea.kr+10kdi.re.kr+10
👉 여기서 “소득인정액”이란,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 + 재산의 소득환산액
입니다 .
2. 소득평가액 산정
-
근로소득:
-
기본공제 112만 원 공제 후 잔액의 30% 추가 공제
-
남은 금액의 **70%**만 평가
-
-
기타소득:
-
사업·재산·연금·공적이전소득 등 포함
-
월 근로소득 200만 원 + 국민연금 30만 원 →
0.7×(200만–112만)+30만 = 91.6만 원 korea.kr+3basicpension.mohw.go.kr+3songpa.go.kr+3
3. 재산의 소득환산액
-
평가대상 재산: 주택·토지·건물·예금·주식·자동차 등
-
환산방식:
{ (일반재산 – 기본공제액) + (금융재산 – 2,000만 원) – 부채 } × 4% ÷ 12개월 + 고급자동차·회원권 환산분
-
기본공제액 기준:
-
대도시: 135백만 원
-
중소도시: 85백만 원
-
농어촌: 72.5백만 원
-
-
고급자동차(차량가액 4,000만 원 이상) 및 회원권은 100% 환산 적용
4. 적용 예시
-
단독가구: 소득인정액 2,280,000원 이하 → 기초연금 수급 가능
-
부부가구: 3,648,000원 이하이면 대상
✅ 요약 정리
항목 | 기준 |
---|---|
단독가구 선정기준액 | 월 2,280,000원 이하 |
부부가구 선정기준액 | 월 3,648,000원 이하 |
산출식 | 소득평가액 + 재산 소득환산액 |
🔍 다음에 해야 할 일
-
소득평가액: 월 근로·사업·연금 등 소득 파악
-
재산환산액: 자산(부동산, 금융, 자동차 등)에 대한 기본공제 적용 후 계산
-
지자체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에서 자가진단 도구 활용 가능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