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025의 게시물 표시

과민성대장증후군(IBS)

  소화기내과 나 기능성 장 질환 전문 진료를 권합니다. IBS 중에서도 ‘가스형’ 환자에 대해 다음 접근이 있습니다. 식이 조절 (Low-FODMAP diet) 발효성 탄수화물(FODMAP)이 장내 세균에 의해 발효되어 가스를 만듭니다. 피해야 할 대표 음식: 양파, 마늘, 우유, 빵·과자류(밀), 콩류, 일부 과일(사과, 배, 수박 등), 인공감미료(소르비톨, 만니톨 등). 대신 저발효성 식품 위주: 쌀, 감자, 당근, 오이, 딸기, 블루베리, 닭·생선·계란 등. 약물치료 가스 생성 줄이는 약: 리팍시민(rifaximin) 같은 장내 세균 조절 항생제(단기간 사용). 장내 이동·수축 조절: 트리메부틴, 메베베린 등 장신경 안정제. 가스 흡착제: 시메티콘(simethicone) 등. 복부 불안/긴장 조절: 소량의 항우울제(삼환계·SNRI)를 ‘진정제’가 아닌 장 신경 안정 목적으로 사용. 행동·인지치료 장-뇌 연결을 안정시키는 장특화 CBT(인지행동치료)나 장 이완 훈련. 실제로 연구에서 가스형 IBS에도 효과 있음. 프로바이오틱스 가스형 IBS는 Bifidobacterium infantis 35624 같은 특정 균주에서만 효과가 보고됨. 일반 유산균은 오히려 가스를 늘릴 수도 있어요. 식사 한 번에 많이 먹는 것보다, 하루 4~5회 소량으로 나누기. 식사 후 바로 눕지 않기. 수면 하루 최소 7시간 목표 (수면 부족이 장 과민성을 악화). 긴장 완화 수업 전·중간에 복부호흡(5초 들이마시고, 5초 내쉬기) 몇 회만 해도 장신경 안정 효과 있음. 응급 상황 대처 시메티콘 같은 가스완화제를 미리 챙겨 다니기. 시험·수업 전 공복 상태나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 고3이라 당장 스트레스와 일정 조율이 힘들겠지만, 이건 평생 참는 병이 아니고, 완화·조절이 가능한 상태 입니...

전자담배 목 따가움

  입호흡 액상을 알로에베라 맛으로 바꾼 뒤 목이 따갑고 간지러운 증상 이 나타난 건, 멘솔이 없어도 다음 이유들로 생길 수 있습니다. 1. 액상 성분에 대한 민감 반응 알로에베라 향 액상이라 해도, 실제로는 합성 향료 나 추가 첨가물 (에틸말톨, 시트르산 등)이 들어갑니다. 특히 알로에·허브 계열 향료는 목을 자극 하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PG(프로필렌글리콜) 함량 입호흡 액상은 대체로 PG 비율이 높습니다 (50%~70%). PG는 향을 잘 내주지만, 목을 건조하게 하고 자극을 주어 따갑거나 가려운 느낌 을 만들 수 있습니다. 액상을 바꾸면서 PG 함량이 올라갔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3. 니코틴 농도 변화 같은 mg 표기라도 제조 방식, 원료 차이에 따라 **타격감(목넘김 강도)**이 달라집니다. 이전 액상보다 니코틴이 더 순수하거나 강하게 느껴지면 목 자극이 심해집니다. 4. 흡입 방식 변화 향이 부드럽다고 생각해 더 깊이, 오래 들이마시게 되면, 오히려 목과 기관지가 건조해지고 자극을 받습니다. 다른 액상으로 교체 — PG 함량이 낮거나 VG 비율이 높은 액상, 혹은 같은 VG/PG라도 다른 향의 제품으로 바꿔보세요. 흡입량·속도 줄이기 — 짧게 빨고, 천천히 내쉬면 목 자극이 줄어듭니다. 수분 섭취 늘리기 — PG의 건조 효과를 완화합니다. 증상 지속 시 사용 중단 — 알레르기나 염증 가능성이 있으므로 계속 쓰면 악화될 수 있습니다.